에이즈에서 사스까지 | --- 홍혜걸 (중앙일보 의학전문기자, 의사) |
1. 전염병과 인간의 투쟁사(1900-1910: 빅토리아 시대 샌프란시스코) - 격리
아시아에 사스 공포가 확대되면서 한때 과학과 미신이 혼재된 비열한 괴담들이 주위를 떠돌았다. 전염병의 원인이 밝혀지기 이전에는 온갖 미신적 방법에 의존하거나 고작 환자를 격리하고 제물을 바쳐 신께 제사 드리는 것이 손쓸 수 있는 치료의 전부였다. 하지만 병인과 그 전파양식이 명확히 확인된 이후에도 인간은 두 가지의 싸움을 동시에 벌여나가야 했다. 과학의 이름으로 질병과의 싸움을 수행해야 함과 동시에 인간 공포심에 기댄 사악한 것들과의 싸움을 병행해야 했다. 그것들은 구체적으로 인종적인 편견, 격리 조치에 대한 패닉, 경제적인 손실을 두려워 한 행정당국의 사실의 은폐, 축소 등의 형태로 나타나 발병 초기의 신속한 대응을 어렵게 만들었다. 페스트와의 치열한 싸움을 벌였던 20세기 초 샌프란시스코의 상황을 그린 이 다큐멘터리를 보면서 우리는 100년의 시간이 흐른 지금, 낯선 전염병에 대응하는 우리의 모습이 당시의 상황에서 한치도 진전된 게 없음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지난 2002년 11월 광저우(廣州)에서 발생한 사스의 경우에도 중국 당국은 병의 출현을 인식한 상황에서도 침묵을 지켰고 이 질병의 전염성에 대해 전혀 경고하지 않았다. 심지어 언론에 대해서도 보도관제를 취했음이 확인되었다. 결국, 남부중국에서 시작된 이래 20개국 이상 전파되며 8400명 이상이 전염되었고 최소 800명이 사망에 이르는 결과를 낳았다.
2. 두려움은 인간을 얼마나 어리석은 존재로 만드는가?
따라서 이 다큐멘터리의 독법은 필연적으로 이 도시가 서울이라면? 혹은 부산이라면? 하는 공포의 전이와 그에 따른 대응으로 귀결된다. 과연 서울에 이러한 상항을 닥쳤다면 우리는 그에 대응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 불확실함에 대한 공포를 냉철한 과학과 이성으로 이겨낼 용기를 가지고 있는지 되묻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3. 두려움에 대항하는 인간 의지는 얼마나 위대한가
병원체와 인간의 관계는 생태학적 견지에서 공생(共生)의 방향으로 진화하며 상존하고 있다. 강력한 항생제의 출현으로 종의 영속이 어려워질 때 병원체는 변이(變異)라는 수단으로 변종을 만들어 멸종을 교묘히 피한다. 따라서 우리는 AIDS, SARS 등과 같이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질병의 도전을 끊임없이 받아야 한다. 월 스트리트 저널의 의학전문 기자 마릴린 체이스에 의해 쓰여진 <격리>는 흑사병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공포의 대명사가 되었던 이 오래된 역병, 페스트와의 싸움을 다큐멘터리 기법을 통해 과학이라는 차가운 등불을 밝히며 칠흑 같은 어둠 속 두려움에 대항하는 인간 의지의 숭고함을 훌륭히 그려내고 있다. 그동안 아무도 조명하지 않았던, 실로 위대한 도전과 응전의 역사가 여기 기록되어 있다.
'드라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자의 사람 조선의 흙이 되다 - 시대와 민족을 초월한 찬란한 우정 (0) | 2013.05.25 |
---|---|
소설 백자의 사람 (0) | 2013.05.25 |
한국을 사랑한 일본인 - 사랑에는 국경이 없다 (0) | 2013.05.25 |
세계를 난타한 남자 _ 문화 CEO 송승환 (0) | 2007.06.12 |
백악관 상황실 (0) | 2007.06.12 |